사진예술과정
사진 입문자 혹은 사진 예술인으로의 활동을 추구하는 분들을 위한 다양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입니다. 사진예술의 이론과 실기를 차근차근 겸비할 수 있도록 전문 강사진의 교육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사진입문 (초급)김세미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이미지를 접하는 시대에 사진이미지를 이해하고 직접 촬영한 사진으로 소통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 분들을 위한 강좌입니다. 이론과 촬영 실습을 통해 디지털 사진의 기본 및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익히고 사진 창작의 기본기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년 과정 이수자는 마무리 프로젝트 결과물 완성 과정 포함)
>> 월요일 (주간) 10:00 ~ 12:50
01. 오리엔테이션 / 다시 시작하는 사진 / 방학 과제 리뷰
02. 사진에 관하여 / 촬영의 기본
03. 야외 촬영①
04. 사진 리뷰 / 다양한 구도에 관하여
05. 야외 촬영②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로 만든 장면들)
06. 사진 리뷰 / 풍경사진에 관하여 (자연과 환경)
07. 야외 촬영③
08. 사진 리뷰 / 풍경사진에 관하여 (도시와 건축)
09. 야외 촬영④
10. 사진 리뷰 / Still life
11. 야외 촬영⑤
12. 사진 리뷰 / 인물사진에 관하여
13. 야외 촬영⑥
14. 야외 촬영⑦
15. 사진 리뷰 및 못 다한 사진 이야기 (종강)
사진예술Ⅰ(중급)곽은진
현대 사진예술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자신만의 감정을 표현하는 감각과 창의적 사고, 사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강의는 사진예술의 전반적인 흐름을 인식하고 이론과 실제 촬영방법을 통해 자기만의 차별화된 사진작품 제작에 중점을 둔다. 사진의 이론과 실제 촬영 실습을 접목하여 주제에 대한 접근방식과 표현과 기법을 알아본다. 시청각 자료 활용과 개인 작업 리서치 및 프레젠테이션하고 다양한 피드백을 통한 자기 주도적인 사진작업을 진행한다.
>> 금요일 (주간) 14:00 ~ 16:50 / (야간) 18:30 ~ 21:10
01. 교과목 Orientation 및 사진예술의 이해와 방법
02. 새롭게 바라보기의 기본 / 재미있는 사진 이야기
03. 풍경사진의 예술적 접근 - 풍경사진에서의 감정표현 및 스토리텔링
04. 촬영실습 - 3주차 이론을 촬영실습을 통하여 접목
05. 같은 소재속의 다른 주제 - 바다를 다양한 기법의 통합으로 표현
06. 촬영실습 - 5주차 이론을 촬영실습을 통하여 접목
07. 디지털 아트의 개념과 사진과의 융합 - 메이킹포토, 포토 몽타주
08. 촬영실습 - 7주차 이론을 촬영실습을 통하여 접목
09. 구도를 통한 색상과 형태의 조화 및 감정표현 / 작품분석 및 리뷰
10. 촬영실습 - 9주차 이론을 촬영실습을 통하여 접목
11. 주요 전시장 탐방 - 전시작가 및 기획자와의 대화
12. 텍스처의 묘사력 - 내면의 감정표현 / 빛과 그림자의 존재감-색다른 공간의 발견
13. 촬영실습 - 12주차 이론을 촬영실습을 통하여 접목
14. 예술작품은 어떻게 작가의 평가와 작품의 가치를 결정 하는가?
& 사진은 어떻게 예술작품이 됐으며 사진작품 가격이 비쌀까?
15. 최종 프로젝트 발표 및 피드백 / 앞으로 나아갈 방향 설정 및 계획 논의
사진예술Ⅱ(고급)이영욱
사진이 예술이 되는 순간들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시간. 역사적 맥락과 사진 이론이 어우러진 동시대 미술 속 사진의 위상을 조명하는 데이비드 베이트의 『예술사진 Art Photography』의 책 내용을 중심으로, 예술 사진의 이론과 미학을 정확히 이해하고 표현 방법을 응용해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격주로 원서 번역 강의, 번역 원고 및 강의 ppt 자료 제공, 작업 발표와 리뷰 (교재 : David Bate, 『Art Photography』, Tate Publishing, 2015)
>> 월요일 (야간) 18:30 ~ 21:10
01. 예술로서의 사진을 바라보다 (Introduction)
- 책소개 : 사진의 예술적 위상, 역사적 맥락
- 강의 오리엔테이션
02. 나의 작업 주제 찾기 : 주제 설정, 방법과 피드백 / 작업 노트 작성법
03. 사진이라는 개념 (The Idea of Photography) - 사진은 예술? 기술? 개념으로서의 ‘사진’에 대한 철학적 접근
04. 표현 방법 연구 : 다양한 표현 기법 소개, 자신의 주제에 맞는 표현 방법 모색
05. 회화적 전환 (The Pictorial Turn) - 회화주의(pictorialism): 시각예술로서의 미적 가치
06. 개인 프로젝트 계획 수립 :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 피드백 및 수정
07. 기록의 예술 (The Art of the Document) - 기록(Document)과 예술의 경계를 탐색
08. 작품 제작 I : 개인 프로젝트 진행, 중간 점검 및 피드백
09. 개념주의와 예술 사진 (Conceptualism and Art Photography) - 개념미술과 예술 사진의 접점, 아이디어로서의 이미지
10. 작품 제작 II : 개인 프로젝트 작업 지속 피드백 제공 및 토론
11. 아카이브, 네트워크, 내러티브(Archives, Networks and Narratives)-사진을 통한 기억과 정보의 재구성, 서사 구조
12. 작품 제작 III : 개인 프로젝트 작업 지속 피드백 제공 및 토론
13. 거주된 공간으로서의 지리 (Geography as Inhabited Space)
- 사진은 공간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장소성, 이동성, 정체성을 중심으로 사진의 지리 읽기
14. 작품 완성 및 발표 준비 : 최종 작업 마무리, 발표 자료 준비
15. 작품 발표 및 종강 : 학생들의 작품 발표(전시 DP 시뮬레이션), 동료 및 교수의 피드백, 강의 전체 평가 및 토론
포트폴리오정미숙
섬을 촬영하면서 개인적 표현과 자신의 작품에 맞는 주제를 얻을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실습 및 이론, 개인 작업 리뷰를 통하여 개인마다 독창적으로 완성도 있는 사진작품을 만들어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섬을 이야기하다 2 – 섬에 있는 마을과 특색을 촬영하면서 개인 작업에 맞게 방법을 모색한다.)
>> 화요일 (주간) 14:00 ~ 16:50
01. orientation / 예술로서의 사진 / 어떤 사진을 찍을 것인가?
02. 근대 사진의 발달과정 / 사진 적 시각 (camera eye)으로서의 사진
03. 섬을 이야기하다 (촬영1)
04. 작업 리뷰 / 근대 사진의 발달과정 / 영상적 언어로서의 사진
05. 작업 리뷰 / 근대 사진의 발달과정 / 영상적 언어로서의 사진
06. 섬을 이야기하다 (촬영2)
07. 작업 리뷰 / 사진의 이해(contemporary photography)
08. 작업 리뷰 / 사진의 이해(contemporary photography)
09. 섬을 이야기하다 (촬영3)
10. 작업 리뷰 / 현대사진으로서의 이해
11. 작업 리뷰 / 현대사진으로서의 이해
12. 섬을 이야기하다 (촬영4)
13. 작업 리뷰 / 주관적 사진
14. 작업 리뷰 / 주관적 사진
15. 종합평가 및 종강
창작 워크숍최병관
창작의 의미를 정의하고, 컨셉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체계적인 작품 제작과정 훈련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세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주 단위의 학생작품 리뷰를 통하여 사진가로서 꼭 갖추어야 할 미학적, 기술적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또한 촬영실습, 프린트 실습교육을 통한 현장 체험교육을 경험케 한다.
>> 목요일 (주간) 14:00 ~ 16:50
01. Orientation
02. 학생작품발표 (기존작업을 되돌아보는 시간).
03. 포트폴리오의 조건
04. 컨셉 발표 (이번학기의 개인적 작업에 대한)
05. 표현연구.1 - 작품의 Concept에 대하여
06. 표현연구.2 – 작품의 형식에 대하여
07. 표현연구.3 - 노출에 대한 재인식
08. 촬영실습
09. 표현연구.4 - Focus에 대한 재인식
10. 표현연구.5- Color에 대한 재인식
11. 사진 & Text
12. 사진의 새로운 경향들
13. 프린트 실습용 작품 셀렉트
14. 프린트 실습
15. 학기 총정리, 종강


